본문 바로가기
질병, 건강정보

배 가스 빼는법! 복부팽만, 위산역류 원인 및 해결방법 총정리!!

by 마녀리뷰 2023. 3. 28.
반응형

배 가스 빼는법, 복부팽만, 위산역류 원인 및 해결방법

 

배에 가스가 차면 복부에 통증이 느껴지고 가슴이 답답해지며 심한 경우 머리가 어지러운 경우까지 발생합니다. 복부에 가스가 차면서 위산이 역류해 식도염이 생기는 일까지 발생하는데요,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을 주는 복부팽만감,.. 많이 불편하고 고통스러우시죠? 복부팽만, 위산역류 등 배에 가스가 차는 원인과 배 가스 빼는법까지! 총정리해보았습니다!

 

 

  • 배에 가스가 차는 원인 2가지, 복부팽만감이란?
  • 배 가스 빼는법! 4가지 방법 소개 

 

1. 배에 가스가 차는 원인 2가지, 복부팽만감이란?

 

 

우리가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위장은 위산을 분비하여 음식물을 분해합니다. 이 소화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약간의 가스는 정상적인 소화과정때 생기는 것이므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과식을 하거나 위장운동이 저하되어 위장에 음식물이 오랜 시간 머물게 되면, 가스도 다량으로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때 우리는 불편한 복부팽만감을 느끼며 '배에 가스가 찼다.' 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자주 반복되면, 음식을 섭취하지 않았는데도 음식을 섭취한 것처럼 배가 빵빵한 느낌이 들고, 심한 경우 위산역류로 식도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식도염은 위산이 올라오며 식도부터 위장까지 타들어가는 느낌이 드는 증상입니다.

 

배에 가스가 차는 원인으로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첫째, 좋지 않은 식습관! 당연한 이야기이겠지만, 위장이 부담스러워하는 음식들이 있습니다. 튀긴 음식, 가공식품, 술, 탄산음료 등입니다. 이러한 음식은 위장에 가스를 발생시키게 됩니다. 배에 가스가 자주 차는 분들이라면, 위 음식들은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과식하거나 음식을 잘 씹지 않고 삼키는 습관 역시 위장에 부담감을 주게 됩니다.

둘째, 좋지 않은 식후습관!  배에 가스가 생기는 이유는 음식물이 위장에 오래 머무르면서 가스가 다량으로 발생하게 되어서인데요, 위장운동이 저하되었을 때는 과식하지 않았음에도 음식물이 위장에 오래 남게 됩니다. 식사 후 바로 눕는 습관은 위장운동을 저하시키는 습관입니다. 식후에는 절대 바로 눕지 말고 간단한 산책을 통해 소화작용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배 가스 빼는법! 4가지 방법 소개

 

그렇다면 이번엔 배에 가스 빼는 법에 대하여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가벼운 산책, 스트레칭

이미 배에 가스가 찬 상태라면, 간단한 산책을 통해 위장운동을 시켜 소화를 돕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격렬한 운동은 오히려 위산역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가벼운 산책이나 요가, 스트레칭 등으로 복부근육을 스트레칭시키고 소화계를 자극시켜줍니다. 

 

- 복부 마사지, 손 지압점 마사지

손을 따듯하게 한 뒤 복부에 얹은 후 시계방향으로 천천히 쓰다듬어 줍니다. 또한 엄지와 검지 사이를 지압해주는 것 역시 소화에 도움이 됩니다.

 

 

- 따듯한 차, 레몬수, 발효식품, 요거트 등 소화촉진음식 섭취

소화를 돕는 음료나 음식을 섭취해줍니다. 따듯한 차, 레몬수, 애플사이다 식초 등은 소화를 도와준다고 합니다. 발효식품과 요거트 역시 소화과정을 개선시키고 염증을 낮추어줍니다. 발효식품과 요거트는 특히 장내 유익균을 제공하니 장 건강을 위해 평상시에 꾸준히 섭취해주면 좋습니다.

 

- 음식물을 잘게 씹는 습관

배에 가스가 자주 차는 분이시라면, 평소 식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특히, 음식을 천천히 잘게 꼭꼭 씹는 습관을 꼭 만드시기 바랍니다. 음식을 잘게 씹는 습관은 소화를 도울 뿐만 아니라, 과식을 예방하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배에 가스 빼는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복부팽만감은 일상생활에서 큰 불쾌함을 주는 증상인데요, 평소 식습관을 개선하고 유산균을 꾸준히 섭취하여 올바른 소화작용을 돕고 건강한 장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럼 편안한 장 만드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